티스토리 뷰

반응형

인상 깊게 보았던 국가부도의 날 리뷰이다. 1997년 경제 호황과 그 뒤 경제위기에 직면하기 직전 일어났던 이야기다. 국가 부도가 나기 전 일주일을 생생하게 영화에서 볼 수 있다. 가상과 실제의 이야기가 섞여있어 흥미진진하고 점점 빠져들게 된다. IMF직전의 느낌을 알고 싶다면 보는 것을 추천한다. 


국가부도의 날 영화 리뷰

2018년 11월에 개봉하였고 한국 관객수 370만명 이상 영화를 보았다. 최국희 감독의 두 번째 장편 영화로 1997년 외환위기를 배경으로 국가부도가 나기 일주일 전 다양한 상황들이 나온다. 영화는 사실과 허구가 섞여 있는데 국가 위기를 맞기 전 각자의 자리에서 사람들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들이 영화에 담겨있다. 실화를 바탕으로 긴장감이 느껴지고 생생한 이야기들로 영화를 보는 내내 집중하게 만든다. 1997년 대한민국이 경제호황을 최고로 누리고 있었을 때, 한국은행 통화정책 팀장인 '한시현'이 경제위기가 닥칠 것을 예상하고 이를 보고한다. 국가부도를 예견한 것인데 이 보고를 들은 정부는 비밀리에 대책팀을 만들어 국가부도를 막기 위해 수를 쓴다. 은행에 다니는 '윤정학'은 미국 투자자들이 투자를 철수하고 라디오에서 나오는 사연을 듣고 위기를 감지하고 국가가 부도가 날 것이라 예상한다. 윤정학은 투자자들을 모아 국가부도에 투자하여 자산을 늘리려고 한다. 투자자의 투자를 받아 결국에는 크게 성공한 모습이 나온다. 작은 공장을 운영하던 '한갑수'는 거래처의 부도로 어려움에 처했지만 이를 다른 거래처로 넘기면서 위기에서 벗어난다. 어떤 사람들은 국가부도를 예측하지 못하고 경제호황만 믿고 부채를 늘려 사업이 어렵게 되고 어떤 이는 부도를 예상하고 투자를 한다. 국가부도까지 일주일이 남은 시간 위기를 대응하기 위해 한시현과 대책팀이 대립하게 된다. IMF총재가 비밀리에 입국하여 협상을 시도하는데 미국의 이익을 위한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협상의 결과 대한민국은 비정규직이 많아지고 대기업과 돈이 중심이 된다.  

 
출연자

영화는 2018년 개봉작으로 출연진은 김혜수, 유아인, 허준호, 조우진, 뱅상카셀이 주요인물로 나온다. 한시연 역을 맡은 김혜수는 제일 먼저 2017년에 캐스팅되었다. 한시연은 국가의 위기를 처음 예측하고 비밀리에 만들어진 대책팀의 팀장이다. 국가부도를 예상하고 보고하고 국민들에게 알려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지만 시스템과 막강한 권력에 있어 어쩔 수 없는 상황들을 맞이하게 되고 고위관료들과 대립하게 된다. 작은 공장을 운영하는 한갑수의 동생이기도 하다. 김혜수는 이 대본을 보고 분노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윤정학 역에는 유아인이 나온다. 정학은 곳곳에서 알게 된 정보로 국가가 위험해질 것을 알게 되고 회사에 사표를 낸다.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하고 투자자들을 모으는데 투자자들 가운데서도 노인과 젊은 남자만 투자를 한다. 다른 사람들이 다 파산할 때 국가위기에 투자한 정학은 크게 돈을 벌게 된다. 위기에 투자한 인물로 1997년 당시 많은 사람들이 파산했지만 이윤을 크게 남긴 사람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허준호가 맡은 한갑수 역은 작은 그릇공장을 운영하는 성격 좋은 사장인데 위기를 알지 못하고 거래처가 부도가 나자 위기를 알게 된다. 집과 공장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다른 거래처에 어음을 넘기고 위기를 피한다. 마지막에는 나쁜 사장의 모습으로 나온다. 재정국 차관으로 나오는 조우진은 한시연 팀장과 대립관계에 있는 인물이다. 중소기업 보다 돈 있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익을 지키기 위해 행동하고 성차별적인 발언을 하는 사람으로 악역이다. 협상을 하러 온 국제통화기금 총재 역할에는 뱅상카셀이 맡았다. 실제 IMF총재를 모델로 한 배역이고 시연과 협상을 하며 강한 불어억양과 절제된 표정 연기를 잘 보여주었다. 이외 한국은행 총장, 경제수석, 노신사 등 인물들이 출연한다.

 
감상평

실화를 바탕으로 긴장감이 느껴지고 생생한 이야기들로 영화를 보는내내 집중하게 만든다. 김혜수 배우는 다양한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았지만 극에 빠져들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역사를 바탕으로 허구의 내용을 표현했지만 실제로 1997년을 겪었던 세대라면 현실을 바탕으로 답답함을 느끼기도 할 것 같다. 이 시기를 겪었던 30대 이후의 나이라면 공감할 만한 내용들이다. 영화를 통해 국가의 위기가 서민들의 탓이 아닌 정부와 대기업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강조하는 점이 인상적이다. 갑수역을 맡은 허준호를 보며 안타깝기도 하고 결국은 나쁜 사장이 된 모습을 보면 씁쓸하기도 하다. 그 시절 어쩔 수 없이 사람이 변하고 나라가 변하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국가의 위기에 대해 심각성을 받아들이고 큰돈을 가지게 된 사람들이 있다. 사람들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 결과를 보여준 것이다. 이 영화에 대한 다양한 평들이 많다. 답답함을 느끼는 사람, 스스로 공부가 되었다는 사람,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사람 등이 있다.  영화 속에서 사람들이 선택했던 것처럼 실제 영화를 본 사람들도 각자 다른 생각을 하는 것이다. 극 중 배우들의 연기에 몰입이 잘 되어 긴장감과 슬픔등의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경제와 관련된 영화로 추천할 만한 영화이다. 오래된 영화는 아니지만 지금 시기에 보기에도 괜찮은 영화이다. 

반응형